이탈리안 럭셔리 하우스 ‘돌체앤가바나’가 이탈리아 로마에서 알타 모다를 공개했다.
현지 시각 7월 12일부터 7월 16일까지 총 5일 동안 열린 행사는 전설적인 가수 쉐어의 개막식 공연을 시작으로 하이 주얼리인 알타 조엘레리아, 여성 오트 쿠튀르인 알타 모다, 남성 오트 쿠튀르인 알타 사토리아, 그리고 클로징 파티 순서로 진행됐다.
‘돌체앤가바나’가 하이 주얼리 컬렉션인 ‘2025 알타 조엘레리아 로마 컬렉션’을 선보인다. 이번 컬렉션은 로마의 예술성과 건축미, 종교적 상징, 그리고 20세기 중반 이탈리아 영화의 황금기를 테마로 고대와 현대, 도시의 다면적인 정체성을 새로운 하이 주얼리 컬렉션 속에 표현했다.
고대 로마 제국의 건축 양식에서 영감을 받아 아치, 기둥, 박공, 코린트식 모티브 등의 다양한 건축 요소들이 체인과 세팅, 디테일 속에 구현되었다. 일부 작품은 대리석 가루로 조각상을 재현하거나 스톤 마이크로 모자이크, 손으로 그린 미니어처, 고대 벽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참 장식을 포함했으며 보석의 색감은 로마 빌라의 모자이크에서 영감을 받아 생동감과 깊이를 더했다.
1950~60년대 이탈리아 영화 디바들의 우아함도 주요 테마이다. 큰 캐럿의 천연석과 극적인 세팅, 절제된 화려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 주얼리들은 고전적 미학과 현대적 감성을 조화롭게 결합했다.
로마의 신앙심과 종교적 상징에서 비롯된 디자인도 눈길을 끈다. 십자가, 천사, 새크리드 하트 등 모티브가 금과 보석으로 정교하게 구현되어 상징성과 감정의 깊이를 전달한다.
이번 컬렉션은 보석에 담긴 역사적 의미도 강조한다. 아쿠아마린은 로마 선원들에게 행운을 상징하는 부적이었으며 산호는 아름다움과 보호의 상징으로 터키석은 로마와 이집트, 그리스 간의 문화 교류를 반영한다. 실제 황제 시대의 금화 아우레움을 세팅한 작품도 포함되어 있다.
로마 귀족들의 상징적 액세서리였던 쉐발리에 반지와 커프링크스는 상징성과 장인정신을 담아 현대적으로 재탄생했으며 컬렉션의 피날레는 보석이 장식된 주얼 워치와 새로운 시계 라인 미라지가 장식했다. 바게트 컷 보석으로 세공된 리미티드 에디션 워치는 모노톤과 레인보우 버전으로 선보이며 ‘돌체앤가바나’가 자체 개발한 DG 01.01 무브먼트를 탑재했다.
‘돌체앤가바나’의 2025 여성 쿠튀르 알타 모다 컬렉션이 ‘영원의 도시’ 로마의 상징이자 정치, 경제, 종교의 중심지인 포로 로마노에서 공개되었다.
쇼가 펼쳐진 비아 사크라는 로마의 전설적인 창시자 로물루스와 사비니족의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자 고대 로마 첫 왕의 무덤이 발견된 장소로 알려져 있다. 순결과 헌신의 상징이자 로물루스의 어머니, 성스러운 여사제 레아 실비아가 속했던 베스탈 여사제들을 기리는 신전 또한 포로 로마노에 남아 있다.
이번 알타 모다 컬렉션은 고대 로마의 장엄함과 신화적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 건축물이자 로마의 명소인 스페인 계단, 트레비 분수, 트리니타 데이 몬티 성당 등에서 영감을 받은 다양한 의상들로 구성되었다.
또한 1950년대에 시네마 산업 호황에 디자이너들이 아름답게 꾸며낸 스크린과 일상 속 디바들의 모습이 조명받으며 세계적인 패션 중심지로 자리잡은 로마의 패션 황금기를 기리는 룩들도 선보였다. 모든 의상은 최고급 원단을 사용했으며 장인들이 손으로 직접 자르고, 꿰매고, 수놓아 완성되었다. 이탈리아 전통을 이어온 장인들의 솜씨는 이번 쇼에서도 빛을 발하며 로마가 왜 알타 모다의 요람으로 불리는지를 다시금 보여주었다.
‘돌체앤가바나’의 2025 남성 쿠튀르 알타 사토리아 컬렉션은 로마의 역사가 담긴 명소이자 변함없는 위대함의 상징인 산텐젤로 성에서 공개되었다.
서기 123년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자신의 위대한 업적을 기리기 위한 기념비이자 영묘인 산텐젤로 성의 건설을 명령했다. 그의 서거 1년 후인 서기 139년에 완공된 산텐젤로 성과 엘리안 다리는 그 후 도시를 수호하는 요새의 역할을 수행하며 카스텔럼이라 불렸다. 전설에 따르면 로마에 역병이 도래했던 590년에는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대천사 미카엘이 성 위에 나타나 칼을 불태우는 환영을 목격하며 역병이 끝날 것을 예언했다고 한다.
1667년 교황 클레멘스 9세는 지안 로렌조 베르니니에게 엘리안 다리에 배치할 천사상 10개를 만들어줄 것을 요청했다. 각각의 천사상에 그리스도의 고난의 의미를 담아 엘리안 다리를 신자들을 위한 기념비적인 사색의 길로 만들었다.
알타 사토리아 컬렉션은 수천년의 역사를 지나 장려하고 세련된 승복이 중점적인 기독교식 재단에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의 티티안, 라파엘, 미켈란젤로, 베르니니 등 거장들의 작품부터 에드워드 버거의 영화 ‘콘클라베’까지 수많은 예술의 영역에서 성직자들의 우아한 모습은 영적인 동시에 아름다운 존재로 묘사되어 왔다. 이의 중심에는 엄격한 의전과 종교적인 규범 외에도 수세기에 걸쳐 발전한 장인정신이 깃든 예복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