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식 한국 최초 백화점은 화신상회!

instagram facebook youtube
칼럼 & 데이터베이스
▶ 모바일 홈 화면에 바로가기 추가하기

현대식 한국 최초 백화점은 화신상회!

박정식 기자 0 2024.02.05

일제 강점기 백화점이라는 문물 2 

 

京城府廳(경성부청)은 지금의 한국은행(일제 강점기 조선은행) 건너편에 위치했던 일본영사관을 일컫는 말이다. 부청 내부에는 남부경찰서(본정경찰소)도 위치해 있었다. 이곳에는 1916년에 조선 사람이 최초로 설립한 백화점이 있었으니 설립자의 이름을 따 김윤 백화점(金潤百貨店)이었으며 사업가였던 김윤배씨가 종로2가에 설립하여 주로 그릇이나 도자기류, 철물잡화를 취급하는 현대식 상점이었다. 이후 1916년부터 1929년까지 다양한 현대식 상점들이 백화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새롭고 다양한 유통 시설들을 선보였다.

 

그 대표적인 곳들이 최남(崔楠)이 설립한 덕원상회(德元商會,1916), 유재선(劉在善)의 계림상회(1918), 동아부인상회(1919), 이돈의(李敦儀)의 고려양행(1920),신구범(愼九範)의 금강상회(1926), 김윤수(金潤秀)의 경성상회, 최윤석상점(崔潤錫商店,1929), 신태화(申泰和)의 화신상회, 한상억(韓相億)의 동양백화주식회사(1937)등이 있었다.

 

하지만 현대식 백화점, 즉 그 당시 유럽의 백화점 형태를 갖췄다고 할 수 있을 만한 곳은 박흥식(朴興植, 광신학원 이사장)19319월 종로 2가에 인수한 화신상회(和信商會)였다. 3년여간 영업을 하다가 1934년 화신상회가 화재로 전소하자 다음해 신축하여 이름도 화신백화점으로 변경하고 미츠코시백화점과 경쟁하는 구도를 갖추게 되었다.


 

 

화신백화점(和信百貨店)의 전신은 위에서 언급한 1890년대 신태화가 설립한 화신상회로 주로 금 은 귀금속을 전문으로 거래하는 상회로 운영되었는데 화신상회 제품은 대표적인 한국공예품으로 인정받았다. 1922년 양복부를, 그 다음해엔 일반잡화부를 증설하여 그런대로 백화점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1929년에 들어서며 대공황으로 경기가 나빠진 데다가 은에 투자했던 전재산이 하락하면서 1930년에 이르러 자금 압박에 시달렸다. 이후 1931년 친일 반민족행위자였으며 당시 선일지물(鮮一紙物)사장이었던 박흥식에 의해 31만원에 인수되어 백화점으로 새롭게 설립되었으며 설립당시 31만원에 매수하여 자본금 100만원의 화신상회를 설립한 뒤 기존의 목조 2층 건물을 3층 콘크리트 건물로 개축하고 운영조직도 영업과, 서무과, 사입과(仕入課, 현재 구매매입)등을 두고 백화점 이라는 사업을 시작하였다. 위치는 현재 종로구 공평동 종로타워(국세청) 자리에 있었다.

 

이렇듯 화신백화점은 개점 당시 조선과 만주를 통틀어 명실상부 최고의 백화점이었던 미츠코시 백화점(개점 당시 대지 730, 건평 300평에 직원이 360)의 아성을 깨고자 경쟁의 중심 종로통에 점포를 개설했던 것이다.

 

그러던 중 이듬해인 1932716일 옆 건물의 덕원상회의 최남이 운영하던 동아백화점을 인수, 합병하였고 1934227일 주식회사 화신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년도 안 되어 경쟁사에 인수되긴 하였지만 동아백화점은 오픈과 동시에 당시로서는 파격적으로 젊은 여사원들을 대거 취업시켜 경쟁점과의 차별화를 도모하게 된다. 또한 베테랑 직원을 1() 균일샵(지금의 일본의 100엔 균일샵 유사형태)을 오픈하였고, チンドン(친돈야, 북을 울리며 사람들의 시선을 끌어 상품이나 점포 등을 선전하는 곳)에서 광고도 크게 하는 등 당시로서는 새로운 스타일의 판매법을 만들어 내었다고 전한다. 하지만 위에서처럼 1년여 만인 1932년에 경영난을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화신백화점에 백기를 든다.

 

 백화점 100년 역사를 돌아본 안형준씨는 현대백화점에서 20여년간 일하며 틈틈이 일본과 한국의 백화점 역사 자료를 모아 이번 글을 썼다. 안형준씨의 글쓰기는 아직 진행중이며 연재가 끝날 즈음에 백화점의 현재와 미래가 더해지길 기대해본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