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사업은 지금 리스크가 매우 높은 사업이다. 고비용이 들고 효율이 낮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고비용이란 인건비, 사무실 비용, 마케팅 비용, 매장 비용, 사전 생산에 따른 재고 비용, 물류비용, 판매비용 등 많은 자금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또 효율이 낮다는 것은 생산 후의 제품판매가 어렵다는 이야기다.
이러한 높은 리스크로 인하여 소비자들이 옷값이 비싸다고 느낀다. 그러면 자금 리스크를 줄이고 판매의 효율성을 높이면 소비자에게 좋은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생각에서 나타난 세계적으로 알려진 의류브랜드가 자라, 유니클로와 같은 SPA 브랜드다.
이러한 월드와이드 SPA 브랜드를 모방하여 한국에서도 타 회사에서 비슷한 모습의 브랜드가 나왔지만 거의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왜일까? 일부 모습은 비슷하게 만들었지만, 전체적으로 새로운 모습을 만들지 못했기 때문이다. 약 10년에 걸쳐 새로운 모습을 만들 수 있는 로드맵을 계획하고 있었다.
자금 수요를 줄이고자 사무실 인원을 줄이고, 직원들이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고 패션 회사와 제품 생산자와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고, 백화점이나 대리점 등 중간 유통을 생략하고 새로운 유통을 만든다.
새로운 유통이란 움직이며 소비자를 찾아가는 유통을 말할 수 있고, 또 다른 유통으로 전국 주요 도시 외곽에 매장을 열어 판매용 전시 제품을 최소화시키고 소비자의 몸에 투영하면 입어 본 것과 같은 효과를 주는 증강현실 기술을 도입하면 된다. 그래서 움직이는 매장이나 도시 직영매장에서 소비자가 결정하고 대금을 지급하면 생산처에서 소비자에게 바로 택배 발송하면 된다.
이러한 시스템 구축으로 절약되는 큰 비용으로 신소재와 새로운 스타일의 개발 등 연구 개발에 투자하면 한국의 패션산업이 세계경쟁에서 리드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생각은 내가 현역시절인 2010년부터 고민을 하며 2020년까지의 로드맵을 만들어 후배들에게 전하고 싶었다. 물론 실행을 하다 보면 어려운 문제가 있겠지만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대구 패션산업연구원장을 맡게 된 동기 또한 이러한 새로운 패션산업 모습을 연구하며 누군가에게 패션 산업에 대한 미래를 알려주고 문을 열어주고 싶어서였다. 그러나 내 능력 부족으로 중도에 퇴사하고 말았다. 아쉬움이 컸다. 정부 지원을 받아 연구 및 실행하거나, 자금력이 있는 대기업에서 시도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