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사람들)백화점 용어 정리 20선(2)

instagram facebook youtube
OPEN WRITE
▶ 모바일 홈 화면에 바로가기 추가하기

(백화점사람들)백화점 용어 정리 20선(2)

신입사원 0 2019.06.16

  

이번 주 백화점사람들은 지난 주에 이어 백화점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 20, 나머지 10개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11. 코어(Core) : 건물의 특성 상 정문, 후문 등의 고객 출입구를 제외하고 비상계단이나 엘리베이터 직원 출입구 등을 각각 코어로 명명하여 알아듣기 쉽게 사용합니다 (A코어, B코어 등)

 

12. 매니저, 시니어, 주니어 : 매장에 근무하는 사원들을 부르는 호칭으로 대부분 개인사업자 이고, 협력사 본사에서 파견 나온 직원들도 종종 있습니다.

 

13. 자사카드 vs 타사카드 : 지금은 한곳의 백화점만이 자사카드, 즉 백화점에서만 통용되는 In house card를 가지고 있고, 나머지는 모두가 일반 신용카드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백화점 카드를 자사카드라고, 일반 신용카드를 타사카드라고 사용합니다.

 

14. E/S, E/V : 간단합니다,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입니다. 흔히 줄여서 쓰고, 일상에서도

엄청나게 많이 사용하는 줄임말입니다.

 

15. 까대기 : 정기적으로 입고되는 상품이 대부분 박스에 담겨 오기 때문에 박스를 풀어 상품을 정리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백화점이 아니더라도 이 말 다른 산업 현장에서도 자주 사용합니다.

 

16. CS : 고객만족(Customer Satisfaction)의 영어약자로 늘상 생활처럼 쓰는 단어입니다. 이러한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직도 운영 중인 백화점도 있습니다.

 

17. RT : 회전, 교대(Rotation) 등의 뜻을 가진 단어로 백화점에서는 흔히 상품의 이동을 의미하며 재고가 없을시 RT를 통해서 물량을 받는다는 등의 표현으로 쓰입니다.

 

18. 수선실 : 대부분의 백화점 및 아울렛들이 점내에 수선실을 운영합니다. 구매품을 바로바로 수선해서 가져갈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동네보다 다소 비쌉니다.

 

19.상행선, 하행선 : 위에서 언급한 E/S(에스컬레이터) 이야기로 올라가는 곳, 내려가는 곳을 직원들이 줄여서 상행, 하행이라 표현합니다.

 

20. 코드 : 흔히 백화점등에서 듣는 말인데, “코드가 없다, 코드가 열리지 않았다등은 상품을 계산하기 위한 마진 설정구간이 없다는 뜻으로, 흔히 정상, 할인, 행사, 특가 등의 다양한 코드가 있어 전산상에 계산을 할 공간(메칭코드)이 없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고객님 코드가 없어 그렇게는 할인을 해 드릴 수 없다는 뜻은 정말로 그 금액으로는 계산을 못한다는 뜻입니다. 코드와 금액이 맞지 않으면 본인이 물어내야 합니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