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강남점이 3년 연속 3조원 돌파라는 기념비적인 성과와 함께 달성 시점을 2년 전보다 두 달, 지난해보다 3주 앞당긴 최단 기록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강남점은 상반기 내수경기 침체 속에서도 올해 11월 초까지 8.1%의 견고한 매출 신장률을 기록하며 국내 백화점 중 가장 먼저 3조원을 돌파해 단일 점포 매출 1위의 위상을 확고히 했다.
이 같은 실적은 명품 라인업을 앞세웠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올해 강남점 명품 매출은 전체 매출의 40%를 차지하며 고객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남점에는 에르메스(4개), 루이비통(3개), 샤넬(4개)를 비롯한 ‘에루샤’ 3대 명품과 구찌(6개), 디올(4개), 보테가베네타, 프라다 등 글로벌 브랜드가 남성 여성 부티크, 뷰티, 슈즈, 주얼리, 키즈라인 등 세분화된 형태로 약 100여개 매장에 걸쳐 입점하며 국내 최대 압도적 라인업을 구성하고 있다.
국내 최초와 유일이란 수식어는 항상 강남점과 함께한다. 프랑스 력셔리 브랜드 ‘디올’의 키즈 버전인 ‘베이비디올’ 매장도 국내 최초 강남점에서 선보였고 지난해에는 프랑스와 일본에 이어 전세계 3번째이자 국내 첫 ‘루이비통’ 주얼리 전문 매장을 오픈한 바 있다. 럭셔리 워치 브랜드 ‘오데마피게’의 국내 유일 매장을 신세계 강남점에서 운영하고 있다.
‘불가리’, ‘티파니’, ‘까르띠에’, ‘반클리프 앤 아펠’ 등 세계 4대 명품 주얼리를 모두 갖춘 강남점은 혼인율 증가와 함께 럭셔리 주얼리 매출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올해는 VIP 고객을 중심으로 다양한 워치·주얼리 행사를 진행하며 올 10월까지 전년 대비 매출이 30% 이상 증가했다.
강남점은 올해 인근 아파트 입주에 맞춰 럭셔리 가전 리빙 영역도 확대했다. 100년 전통의 이탈리아 에스프레소 머신 브랜드 ‘라마르조코’는 조형 작가 이광호와 협업해 갤러리형 매장이 들어섰고 독일 하이엔드 빌트인 주방가전 브랜드 ‘가게나우’는 쇼룸형 체험관으로 구성됐다. 백화점 업계 최초로 일본 장인 나이프 편집숍 ‘마이도’와 주방 조리도구 전문 매장 ‘키친툴’도 8월 새롭게 문을 열었다.
강남점은 올해 글로벌 인기 IP와 다양한 장르의 팝업을 수백 회에 걸쳐 선보이며 신세계만의 고객 경험을 확대했다. ‘오징어 게임3’, ‘귀멸의 칼날’, ‘승리의 여신 니케’, ‘비밀의 아이프리’, ‘엔하이픈’ 등 다양한 콘텐츠가 강남점 공간을 채우며 세계적 브랜드와 문화 콘텐츠, 트렌드를 아우르는 폭넓은 럭셔리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2016년 신관 증축 리뉴얼로 시작된 강남점의 새로운 도전은 이후에도 끊임없는 투자를 통해 ‘국내 최대 식품관’을 완성했다. 2년간 4번에 걸친 공간혁신은 명품, 리빙, 패션 브랜드 라인업을 넘어 이제는 식품에서도 ‘초격차 경쟁력’을 선보인 것이다.
총 6000평(약 2만㎡) 규모를 자랑하는 강남점 식품관은 지난해 선보인 디저트 전문관 ‘스위트파크’와 프리미엄 푸드홀 ‘하우스 오브 신세계’에 이어 지난 2월 16년 만에 리뉴얼한 ‘신세계 마켓’과 프리미엄 델리 전문관(8월)까지 순차적으로 문을 열며 하나의 거대한 ‘미식의 신세계’를 완성했다.
이 같은 대대적 리뉴얼은 소비 트렌드의 변화를 읽고 선제적으로 투자한 결과다. 신세계 강남점은 고객들이 ‘식사’가 아닌 ‘미식의 경험’을 찾는 시대 흐름에 발맞춰 단순한 쇼핑 공간을 넘어 문화와 예술, 미식이 공존하는 복합 콘텐츠 공간으로 진화한 것이다.
재단장 이후 강남점 식품관은 매출이 20% 이상 늘고 주말 기준 하루 외국인 고객을 포함해 10만명이 넘게 찾는 글로벌 명소로 거듭났다.
신세계 강남점의 공간 혁신은 단기 성과를 넘어 고객 경험에 중심을 둔 신세계만의 미래를 위한 대표적인 투자 사례로 평가된다.
강남점의 탄탄한 성장에는 견고한 구매력을 가진 VIP가 한몫 했다. 강남점 매출 중 VIP가 차지하는 비중이 올해 처음 절반(52%)을 넘겼다. 불황속에서도 흔들림 없는 구매력을 선보이며 VIP 전체 매출 또한 8% 넘는 성장을 보였다.
신세계백화점 VIP 중 엔트리 등급인 레드 고객의 수가 10% 가량 성장세를 보이면서 우수고객의 볼륨이 커지고 있다는 점은 향후 강남점의 전망을 밝게 만들고 있다.
강남점은 외국인 관광객도 찾는 ‘글로벌 랜드마크’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K-푸드 열풍을 타고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국에 오면 찾는 명소로 자리매김했다는 분석이다. SNS를 통해 입소문이 난 스위트파크와 하우스 오브 신세계, 그리고 이번에 오픈한 델리 전문관까지 국내 최대 식품관을 찾아온 관광객들이 몰리며 외국인 매출이 71% 이상 급증했다.
신세계 강남점만의 단독 IP를 활용한 팝업스토어는 2030 고객을 강력하게 유인하고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올해만 160만명의 2030 고객이 강남점 팝업스토어를 이용했으며 구매고객 중 강남점 구매 이력이 없던 신규 고객 수는 70%에 달했다. 여기에 신반포 메이플자이, 반포 트리니원 등 강남점 인근 지역의 신축아파트 입주가 순차적으로 예정돼 있어 계속된 초격차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내년 신세계 강남점의 시선은 매출 4조원를 바라보며 세계 최고 백화점에 향해 있다. 이제 일본의 이세탄 백화점, 영국 해러즈 백화점 같은 글로벌 명품 백화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본격적인 경쟁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