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투코리아그룹의 갑질 논란이 불거졌다.
업계에 의하면 ‘케이투’가 대리점주에게 인테리어 교체를 강요하는 등 갑질 행각을 벌여왔다는 내용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고 있다. 특히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과 공정거래위원회에 조사 요청 등 이 같은 내용을 공론화하고 이를 언론이 기사화하며 사건이 확산되고 있다.
이번 논란은 지난 5월 21일 ‘케이투’의 전 대리점주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문제를 제기하며 세상에 나오게 된다. (미디어패션쇼 5월 27일자 ‘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라온 아웃도어는?’ 제하 기사 참조) 청와대 게시판에는 회사명과 브랜드, 대표이사 등 개인정보가 가려졌는데 이후 언론이 이를 기사화하며 이름이 공개됐다. 이 청와대 국민청원 내용은 한 달 동안 879명의 동의를 얻고 종료됐다.
청원의 주요 내용을 보면 케이투코리아 정영훈 대표가 대리점 계약 후 5년째 되는 해에 반드시 인테리어를 교체하도록 했고 이에 응하지 않은 대리점들은 예외 없이 계약을 해지당했다는 내용이다. 또 정영훈 대표는 이 같은 행위가 법 위반임을 알면서도 대리점주들이 자발적으로 인테리어를 한 것으로 위장하고 있으며 상당수의 대리점들이 평균 3주 공사 기간에 수억원 들여 어쩔 수 없이 인테리어를 교체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경우는 위탁 대리점 체제로 운영되는 많은 패션업체들이 경험하는 일이다. 반대로 이런 경험을 가진 대리점주도 부지기수다.
사실 이번 사태를 옳고 그름의 잣대로 가릴 수 없을 것 같다. 법적으로도, 도덕적으로도 서로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는 것만은 분명하다. 심정적으로는 상대적 약자인 대리점주의 편을 들어주고 싶지만 누군가 사실을 은폐한 것이 아니라면 법적으로 진위를 가리기는 어렵다.
그런데 이번 사태를 보며 임블리 사태가 오버랩 되는 이유는 왜일까?
임블리 사태에서는 임블리 당사자 및 회사의 안이한 사태 인식과 대응으로 사건이 발생한 원인과 본질이 달라졌다.
이번 사태 역시 마찬가지다. 억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특히 힘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이나 공정거래위원회를 찾는 것은 어쩌면 당여한 일이다. 시시비비도 가리고,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번 사태를 바라보는 케이투코리아의 입장은 그저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을 반복한 것이다. 물론 대중에게 알려진 것과 달리, 특정 대리점주나 다른 대리점들과 어떤 형태로 만났을 수도 있고, 후속 조치를 취했을 수도 있다. 그랬다면 후속 보도가 지금처럼 이어지지는 않았을 수도 있다.
이번 사태는 이미 인테리어를 강요했느냐, 하지 않았느냐의 문제를 넘어서 버렸다. 패션업체와 대리점의 관계의 문제로 번졌고, 또 일부 매체에서는 이번 사태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정영훈 사장의 배당 문제까지 거론했다. 앞으로 사태가 지금보다 더 확산될 가능성도 많다. 케이투코리아 뿐만 아니다. 그만큼 관행이라는 이름으로 여러 가지 관계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이번 사태의 확산을 잡을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힘을 가진 쪽에서 먼저 손을 내미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차피 대리점과의 관계가 과거와 같지 않다는 것은 분명하다.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새로운 관계가 필요하다. 서로를 존중하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